본문 바로가기

GIS

용도지역 구분 시각화 및 GIS 도시분석

저는 시각적으로 청중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Prezi 플랫폼을 통해 발표자료를 구성하였습니다.
초기 레이아웃
일산신도시를 QGIS를 통해 시각화 및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전체 용도지역지구정보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오픈소스 기반의 공간정보자료들을 제공 받았습니다. 항공사진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용도지역 데이터를 QGIS에 업로드
QGIS 모델 생성기를 통해 고양시 용도지역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생성하였습니다.
추출한 결과물로 고양시에는 관리지역, 농림지역, 도시지역으로 나누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시각화 및 이론적용 파트
DEM(수치표고모델)을 통해서 경사도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Viewshed 툴을 통한 가시권역 분석 / 속성정보 테이블을 잘 활용해야합니다.
가시권역 분석 결과입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은 0 보이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집니다.

가시권역 분석을 통해 래스터 분석의 기초와 속성정보를 프로그램의 변수로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글어스에 바라본 가시권역 시점의 경관
버퍼 분석을 통해서 버제스의 동심원 이론을 시각화 및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린치의 도시 이미지를 구글 나만의 지도를 통해 적용한 결과물
구글어스에 KMZ 파일로 업로드 해 보았습니다.
주엽과 마두의 동일한 도시구조를 위성사진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ARC-GIS의 라벨 클래스 구분 / QGIS 규치기반 렌더링 작업자 두 소프트웨어 모두 조건문을 통한 시각화가 가능합니다.
에필로그 / 인문학요소 활용의 중요성
젠트리피케이션 문제에 대한 시사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았던 프로젝트이자 발표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프레지에 대한 적극 활용과 수업시간에 배운 것들에 대한 실무 적용을 배우고 가셨으면 합니다.

 

https://prezi.com/gxrybik9boum/?utm_campaign=share&utm_medium=copy&rc=ex0share

링크를 첨부하니 참고해주세요!